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용인 클러스터, 성공적인 조성과 운영은?


전력 수급, 환경 부담, 주민 수용성 확보라는 인프라 도전 과제

 

(한국글로벌뉴스 -박소연 기자)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는 지금 경기도 용인특례시에서 다시 쓰이고 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이끄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세계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서 국가 차원의 전략 거점으로 조명받는다.

 

총 400조 원이 넘는 민간 투자가 몰려들고 정부 역시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 가운데, 용인은 '실리콘 밸리 코리아'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거대한 산업도시로 재편되고 있다.

 

그러나 이 장대한 청사진 뒤에는 단지 투자와 기술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물음표가 자리한다. 그것은 바로 “전기를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하는 문제다.

 

'21대 대통령선거'에 걸맞는 공약에서 우리 나라 산업현장 전반에 드리워진 감당해야할 문제가 주목되고 있는  현실을 얼마나 잘 짚고 있는지가 관건이다.

 

초격차 전략, ‘전기 격차’에 막히나

 

SK하이닉스는 원삼면 일대에 122조 원을 들여 126만 평 부지에 4개의 첨단 팹(Fab)을 세운다. 삼성전자 역시 인근 남사읍에 시스템 반도체 중심의 또 다른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투자액만 300조 원에 이른다. 두 기업의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되면 용인시 일대는 단일 지역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 허브가 된다.

 

문제는 이 공장들이 사용하는 전력량이 상상을 초월한다는 점이다. 최신 반도체 팹 한 곳은 중소도시 하나가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냉각 시스템, 클린룸 유지, 초정밀 장비 구동 등 전력 의존도가 높은 첨단 공정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6기의 LNG 발전소를 산단 내에 설치하고, 2037년부터는 ‘국가전력고속도로(ETX)’를 통해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너무 늦고, 너무 부족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미 첫 공장이 2027년부터 가동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전기, 환경, 주민, 조율 없는 개발은 없다

 

전력 문제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다. 발전소와 송전망 구축 과정에서는 지역 주민과의 갈등, 산림 훼손, 환경 규제 저촉이라는 민감한 사회적 갈등도 함께 발생한다. 특히 송전선로 건설은 수년간의 협의가 필요한 민원 중심 이슈다. 지금도 일부 마을에서는 건강권과 환경권을 이유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게다가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이라는 국가 정책 기조와도 충돌한다. LNG 발전은 일시적 대안이지만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결국 반도체 산업이 지속 가능하려면, 친환경 전력망과 지역 수용성 확보라는 ‘사회적 기술’이 병행돼야 한다.

 

산업은 사람과 함께 성장해야 한다

 

용인시는 클러스터 배후에 신도시급 주거지와 생활 인프라를 조성 중이다. 이동공공주택지구, 공공임대주택, 이주기업 전용단지 등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산업단지가 아닌, ‘사람이 사는 산업도시’를 만들겠다는 의지와, 이주 기업을 위한 주거지, 공공임대주택, 지역 우선 채용제 등을 통해 지역 경제의 안정을 도모하며, 이동공공주택지구와 연계해 1만 6천 가구 이상의 신도시가 조성될거라 한다.

 

하지만 정주 여건과 사회 인프라가 공장 가동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기업의 인재 유치와 근로자 삶의 질은 도리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곧 기업 생산성과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력’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성공 여부는 이제부터다. 전력 인프라의 안정적 확보, 환경과 주민과의 조화, 사회적 갈등의 최소화가 이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