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시립소하어린이집, 전국 최초 ‘제로에너지건축물 플러스 등급’ 인증 획득


단열 성능 보강, 고성능 창호 교체, 교효율 기기 사용 등으로 에너지 효율 높여

 

(한국글로벌뉴스 - 박소연 기자) 광명시는 시립소하어린이집이 지자체 최초로 한국에너지공단이 시행하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본인증에서 최고 등급인 '플러스(+) 등급'을 취득했다고 2일 밝혔다.

 

플러스 등급은 지난 1월 개정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에서 새롭게 도입된 최고 등급으로, 에너지 자립률이 120% 이상일 때 부여된다. 소하어린이집은 에너지 자립률 약 131%를 기록해 이 등급을 획득했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해 소비량과 생산량의 균형을 맞춘 건축물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플러스 등급은 사용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건축물에 부여된다.

 

소하어린이집은 2024년 12월 예비인증에서 당시 최고 등급이던 1등급을 받았으며, 이후 설계에 맞춰 내실 있게 시공한 결과 본인증에서도 플러스 등급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

 

이 어린이집은 국토교통부 주관 ‘2023년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공모사업’에 선정돼, 올해 1월부터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갔으며, 연면적 499㎡ 규모(지상 2층, 지하 1층)로 2일 준공을 마쳤다.

 

광명시는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건물의 단열 성능을 보강하고 고성능 창호를 설치했으며, 고효율 설비로 주요 기기를 교체했다. 또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가 가능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을 도입해 에너지 운영 효율을 극대화했다.

 

특히 옥상과 옥외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통해 연간 9만6,897kWh(194kWh/㎡)의 1차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건물의 연간 필요량인 7만3,971kWh(148.1kWh/㎡)를 초과하는 수치로, 에너지 자립률은 약 131%에 달한다.

 

리모델링 전 연간 1차 에너지 소요량은 8만2,712kWh(165.6kWh/㎡)였으나, 리모델링 후에는 –2만728kWh(–41.5kWh/㎡)로 대폭 개선돼, 실질적인 에너지 생산 건물로 탈바꿈했다.

 

광명시는 한국전력공사와 상계거래를 통해 잉여 전력을 전력망에 판매하고, 이를 전기요금에서 차감받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건물 운영을 이어갈 계획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건축물은 도시 에너지 소비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건축 분야의 탄소중립 실현은 기후위기 대응에 매우 중요하다”며 “공공건축물의 제로에너지건축물 전환을 시작으로 민간 부문까지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녹색건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선도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시는 2020년 시립철산어린이집(3등급), 2021년 시립구름산어린이집(4등급) 인증을 받았으며, 지난 1월에는 국토교통부로부터 그린리모델링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등 탄소중립 실천에서 모범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