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베트남의 코로나19 완화 및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의 영향으로 베트남의 올해 1/4분기 청과물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23.1% 증가한 5억 6,210만 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은 전체 청과물 수입의 34.9%를 차지하며 베트남의 최대 수입국 자리를 유지했다 미국(19.1%)과 호주(9.3%)가 그 뒤를 이었다. 중국산 과일은 저가 상품 부문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다. 베트남 국내산 과일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높고 모양이 균일하여 인기다. 고급 상품으로 간주되는 미국, 뉴질랜드, 한국산 과일의 수입 가격은 전년대비 10-30% 하락했다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베트남의 코로나19 완화 정책에 따라 태국 및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용이하다. 한편 베트남의 올해 1/4분기 청과물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4.6% 감소한 11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은 25-30% 감소했다 베트남청과협회(Vinafruit)는 중국이 코로나19 봉쇄조치를 연장할 경우 베트남 수출업체들이 겪는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https://e.vnexpress.net/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5월 16일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国信息通信研究院)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지난 3월 중국 핸드폰 출하량은 2,146만대로 전년대비 40.5% 하락하였으며 이 중 5G 핸드폰 출하량은 1,618.5만대로 전년동기 대비 41.1% 하락했다.(전체 핸드폰 출하량의 75.4% 차지) 지난 1-3월 중국 핸드폰 출하량은 6,934.6만대로 전년대비 29.2%하락한 가운데 5G 핸드폰 출하량은 5,388.4만대로 전년대비 22.9% 하락했다.(동기간 핸드폰 출하량의 77.7% 차지) 한편 3월 출시된 신기종은 44개로 전년대비 7.3% 증가했다.(5G 핸드폰 신기종은 27개로 전년동기 대비 68.8% 증가) 1-3월 출시된 신기종은 103개로 전년동기 대비 15.6%의 하락세를 보였으며 이 중 5G 핸드폰은 57개로 전년대비 10.9% 하락했다.,(전체 신기종의 55.3% 차지) (브랜드별) 동기간 로컬 브랜드 출하량은 1,921.5만대로 전년대비 42.4% 하락(전체 출하량의 89.5% 기록). 출시된 신기종은 43개로 전년대비 16.2% 성장했다.(전체 신기종의 97.7% 차지) 지난 1-3월 로컬 브랜드 핸드폰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은 5.16일 왕이(王毅, WANG Yi)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상견례를 겸하여 화상통화를 갖고, ▴한중관계 전반, ▴한반도 문제, ▴지역·글로벌 정세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 왕 위원은 박 장관의 취임을 축하하고, 박 장관과 좋은 업무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양국관계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박 장관은 우리 정부는‘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 국가’비전 하에 역내에서 공동의 가치와 이익에 기반한 외교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고 하고, 한중관계가 금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상호존중과 협력 정신을 바탕으로 보다 성숙하고 건강하게 발전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를 위해, 양국이 각자의 가치·비전을 존중하면서 공동 이익을 모색하고 양자협력과 역내 및 글로벌 평화·번영을 조화시키자고 하고, 양국관계의 지속적 발전과 관리를 위해 외교당국간 적시 소통 노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한, ▴양 정상의 상호방문 포함 고위급 및 각 급간 교류·소통 강화, ▴경제·보건·기후변화·미세먼지 등 실질협력 심화, ▴한중 문화교류의 해(21-22) 계기 문화·인적 교류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장제원 대통령 특사는 금 5.16일 알 무슈리끄 궁에서 개최된 故'칼리파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5.13. 서거) 조문 행사에 참석하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신임 UAE 대통령에게 조의를 표했다. 장 특사는 동 계기 모하메드 대통령과 환담을 갖고, 윤석열 대통령과 우리 정부를 대표하여 칼리파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아울러, 장 특사는 故 칼리파 대통령 재임시 양국 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평가하고, 모하메드 대통령 선출을 축하하면서 양국 정부가 새로운 리더십 하에서 한-UAE 관계를 새롭게 도약시켜 나가기를 바란다는 우리 대통령의 의지도 전달했다. 이에 대해 모하메드 대통령은 윤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면서 조문사절단을 파견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UAE 정부의 감사의 뜻을 우리 대통령께 전해달라고 했다. 특히 모하메드 대통령은 UAE에게 있어 한국은 매우 특별하고 고유한 협력관계를 가진 국가인 바, 한국과의 관계발전이 UAE에게도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장 특사는 윤 대통령이 신뢰와 신의를 중요시하는 분이라고 하면서, 모하메드 대통령에 대한 방한 초청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신임 김 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5.16일 성 김(Sung Kim)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상견례를 겸한 첫 한미 북핵 수석대표 유선협의를 가졌다. 양측은 바이든 대통령 방한을 앞두고 한미 간 대북 정책 공조가 긴밀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이를 앞으로도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해 협력해 나가자고 하였다. 아울러,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였으며,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앞으로도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위한 한미 간 빈틈없는 공조를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측은 최근 북한 내 심각한 코로나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으며, 미측은 우리의 대북 코로나 방역 지원 방침에 대해 지지를 표하였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최근 인터넷 보안서비스 제공업체 화순신안(华顺信安), 디지털 기술을 통한 임상시험수탁기관 셩팡이야오(圣方医药) 등 스타트업이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화순신안(华顺信安)은 인터넷 보안서비스 제공업체로 사이버 공간 매핑(Mapping) 기술 기반의 제품 연구개발에 주력하며 수억 위안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셩팡이야오(圣方医药)는 임상시험수탁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하여 임상시험 관리와 운영 효율을 향상 가능하며, 5,2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화이량즈(华翊量子)는 1억 위안(약 189.7억원) 규모의 엔젤 시리즈 투자를 유치함. 동사는 이온트랩 양자컴퓨팅 기술 연구개발 업체로 양자 컴퓨터 뿐만 아니라 양자 클라우드 플랫폼에 대한 엑세스도 제공하고 있다. 톈강이먀오(天港疫苗)는 수억 위안 규모의 Pre-A 시리즈 투자를 유치함. 동사는 면역제 개발업체로 세계적인 NK세포(Natural Killer Cell :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 R&D팀을 보유하고 있고 면역관문억제제, 이중/다기능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최근 중국의 애자일로봇(思灵机器人, AGILE ROBOTS)은 폭스콘 인더스트리얼 인터넷(Foxconn Industrial Internet, 富士康工业互联网股份有限公司)으로부터 3,000만 달러의 전략투자를 유치했다. 한편 이전에도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로부터 2억 2천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되어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거듭났다. 동사는 2018년 '힘 제어 로봇 시리즈(LWR I-LWR IV)' 개발에 성공했던 독일우주항공센터 로봇연구소(DLR/RMC)와 하얼빈공대 등 유명 연구소 출신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독일 뮌헨, 중국 베이징에 각각 본사를 두고 있음. 자체 개발한 AI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힘 제어 로봇, 알고리즘 플랫폼 및 운영체제 등을 보유했으며 소비자 가전, 자동차, 액세서리 등 상품 제조뿐 아니라 의료, 농업, 교육 등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제품 라인인 '스마트 힘 제어 로봇'과 '스마트 로봇 운영 시스템은 '환경 인식'과 '자가 학습 및 유연 배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기존 로봇의 선형 프로그래밍 방법과 달리 학습 능력 및 자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집행위는 러시아 화석연료 수입을 완전하게 중단하기 위해 2027년까지 총 1,950억 유로를 투자하는 내용의 'REPowerEU' 계획을 다음 주 발표 예정이다. REPowerEU는 'EU의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 연내 2/3 감축 및 2030년 이전 최대한 빠른 시점에 러시아 가스 의존도를 완전히 제거(eliminate)'하는 것이 목표다. 집행위는 러시아 화석연료 완전 퇴출을 위해 현행 EU 2030년 기후대응 전략을 위한 각종 투자 이외 추가적으로 1,950억 유로의 투자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제고] 2030년까지 EU 에너지 믹스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작년에 제안한 40%에서 45%로 상향조정하고,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확대한다. 또한,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해 2030년까지 당초 집행위가 제안한 EU 전체 에너지 소비량 대비 9% 절감 목표를 13%로 상향조정하고, 관련 투자를 확대한다. [신재생에너지 허가 신속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허가절차를 신속 및 간소화하고 EU 차원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지원 시스템 도입 및 EU 태양광 산업 육성 지원한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집행위 통상총국 관계자는 12일(목) 유럽의회 외교위원회에서 EU와 남미 국가와의 주요 자유무역협정 추진 현황에 대해 브리핑했다. [EU-칠레 협력협정 현대화] 작년 12월 출범한 칠레의 새 정부가 협정에 대한 추가 검토시간을 요구해 협정 서명이 지연되고 있으며, 11월까지 서명 완료를 목표로 한다. [EU-멕시코 무역협정 현대화] 통상총국 관계자는 멕시코 정부의 입장을 고려하는 가운데 EU측 비준절차를 촉진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협정을 무역과 정치 관계의 분리 비준을 시사한 것으로, EU는 멕시코 정부가 이에 동의하면 2023년 양자간 정상회담에서 협정에 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EU-메르코수르 무역협정 비준] 2019년 타결 후 아마존 밀림 환경문제 등에 대한 우려로 비준 반대 여론에 부딪힌 EU-메르코수르 무역협정의 비준을 위해 집행위는 메르코수르에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추가 의정서 채택을 요구할 예정이다. 한편, 보수적 통상정책 비전을 가진 프랑스의 EU 이사회 임기 만료에 즈음해 열린 이번 외교위원회에서 집행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무역협정 추진을 요구해 주목된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올해 618 판촉전을 앞두고 티몰은 금융, 물류, 트래픽, 코로나19 특별조치, 기술 업그레이드 등 5개 방면에서 25가지 상가 지원조치를 발표하였다. 타오바오와 티몰의 상가 지원조치는 지난해 광군제(11.11)의 2배로 중국 상무부연구원 전자상거래연구소 장리(张莉) 소장은 티몰의 상가 지원조치가 코로나19 기간 온라인 소비에 활력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상품 재고 면에서 마이뱅크(MyBank, 网商银行)는 상가들을 위하여 신용대출을 제공하고, 예매 기간에는 소비자가 예약금을 지불하면 상가에 일부 거래액을 결제해주며, 상품판매 기간에는 상가를 위하여 1,000억 위안(약 18.8조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라이브 커머스와 관련해서는 소비자들이 서로 다른 생방송실에서 상품을 구입해도 일정 금액에 도달하면 할인 혜택을 줄 예정이다. [출처 : 신민석간신문]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지난 9일부, 라오스 정부는 해외관광객의 입국을 허용했다. 이는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해외관광객 입국을 금지한 지 약 2년 만에 조치다. 라오스 및 전세계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감소한데 기인한다. 라오스 육로 국경을 통한 입국 역시 재개했다. 라오스에 입국하는 해외입국자는 백신접종증명서 혹은 코로나19 테스트가 요구된다. 백신접종 이력이 없는 12세 이상 입국자는 라오스로 출국하는 시점으로부터 48시간 이내의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결과가 요구된다. 노래방 등 유흥시설은 코로나 방역 수칙을 지키는 시설에 한해 재개한다. 한편, 라오스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 2019년, 479만 명의 외국입 입국자를 기록했다. 2020년 외국인 입국자는 88만 6,400명을 기록했다. 인구 약 770만인 라오스는 누적확진자 20만 8천여 명(사망자 749명 포함)을 기록했다. [출처:https://www.channelnewsasia.com/singapore/nuvaxovid-covid-19-vaccine-moh-booking-appointments-joint-testing-vaccination-centre-268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두바이보건당국(DHA) 발표에 따르면, 두바이는 지난해 63만명의 해외 의료관광객 유치에 성공했다. 지난해 두바이를 방문한 해외 의료관광객들의 총 지출 규모는 7억3천만 디르함(약 2억 달러)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아시아(38%) 유럽(24%) 중동(22%) 순이며 진료과목별로는 피부과(43%) 치과(18%) 산부인과(16%) 순, 그 외 정형외과, 성형외과, 안과 등이다. DHA는 "두바이를 방문하는 해외 의료관광객의 다수가 의료수준이 높은 국가 출신으로, 이는 두바이가 의료 부문에서의 큰 발전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 라고 전했다. (출 처 : ZAW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