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집행위는 26일(수) 2050년 대기 및 수질 오염 완전 근절을 위한 일련의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유럽 대기질과 청정공기에 관한 지침(Directive on Ambient Air Quality and Cleaner Air for Europe)'과 '도시 하수처리 지침(Urban Wastewater Treatment Directive)의 개정을 통해 2050년까지 대기 및 수질 오염을 완전히 근절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침 개정을 통해 정기적 재검토, 매년 대기 미세먼지 반감 및 하수 양분 추출을 통한 하수처리 효율화 등과, 하수 유해 미세오염물질에 대한 '오염자 부담' 원칙의 도입을 추진한다. 집행위에 따르면, 하수의 유해 미세오염물질의 92%는 제약 및 화장품 산업에서 배출되고 있다. 또한, 기업의 대기 오염 지침 위반에 대한 피해자 집단 손해배상청구 소송도 인정할 방침이다. 집행위는 대기 및 수질 오염 근절을 기존 지침을 개정하는 방식으로 추진함으로써, 오염 방지 목표 달성의 구체적 조치는 각 회원국 독자적 결정에 위임. 또한, 회원국 지방정부 등이 오염자에 대한 벌칙 부과 절차도 간소화할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농림축산식품부 박범수 차관보는 10월 26일 오후, 제22차 아세안+3 농림장관회의(영상, 라오스 의장국)에 참석하여 역내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아세안과 한국∙중국∙일본 간의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범수 차관보는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농식품 공급망의 교란과 기후변화로 인해 식량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아세안+3 농림장관회의가 역내 식량안보를 위한 중요한 논의의 장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고, 식량안보, 기후변화 대응, 농가소득 제고 등 3가지 분야에서 아세안+3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역내 식량안보 차원에서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를 통한 쌀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올해 라오스에서 추진 중인 전략작물 생산 예측시스템 구축사업을 다른 아세안 국가로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역내 기후변화 대응과 농가소득 제고를 위해 지능형농장(스마트팜) 시설 구축과 농업기술 보급, 교육‧훈련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참가국들은 이번 회의를 통해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도(APTERR)와 아세안+3 식량안보 정보시스템(AFSIS)의 진행 상황, 그 밖에 '2016~2025 아세안+3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촐롱 치메드(Chuluun Chimed) 몽골 옵스주 주지사와 만나 경기도와 옵스주 간 관계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염태영 경제부지사는 27일 오후 도청을 방문한 촐롱 치메드 옵스주 주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먼저 수원시장 재임 시절 10만 그루 나무심기를 통한 시민의 숲 조성사업으로 사막화 방지 등 자연환경 보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몽골 정부로부터 ‘자연환경 지도자상’ 훈장을 받은 인연을 소개했다. 이어서 “몽골은 대표적인 자원 부국으로 광업․에너지 분야 발전의 잠재력이 큰 나라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긴밀하고 활발한 협력 관계를 이어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촐롱 치메드 주지사는 “경기도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대 지자체로 산업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면서 “경제협력, 농업생산, 보건의료, 소방인력 교육 등 관계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고 싶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이어 옵스주의 주요 생산작물인 시벅썬(비타민 나무)의 생산·가공과 관련한 농업분야 및 보건의료 분야, 소방인력 초청 연수 등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력을 요청했다. 아울러 경기도 불용소방차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에너지장관이사회는 25일(화) 에너지 위기 대응 추가 방안을 협의, 회원국 간 가스 공동구매, 가스 공유 연대 협정 등에 공감한 반면 가스 가격상한에 대해 이견을 표출했다. [가스 공동구매 및 가스 공유 연대] EU 집행위는 가스 공급 위기 대응을 위해 회원국 간 기본 가스 공유 협정 체결과 가스 비축량의 15%를 의무적으로 공동구매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체코 의장국은 모든 회원국이 가스 공동구매를 통한 국제시장에서의 구매력 증대 및 회원국간 연대 협정 체결을 통한 가스 공유 연대 방안에 합의했다고 언급했다. [수입 가스 가격상한] 지난주 EU 정상회의는 집행위와 에너지장관이사회에 거래가격 변동폭제도 등 수입 가스 가격상한 도입과 관련한 '구체적 결정'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이사회에서 12개 회원국이 가스 가격상한 도입에 찬성한 반면, 10개 이상 회원국이 신중한 접근을 요구, 11월 에너지장관이사회에서 이에 대한 조율을 재차 시도할 예정이다. [발전용 가스 가격상한]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시행하고 있는 발전용 가스 가격상한제 이른바 '이베리안 모델'의 EU 전체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회원국 입장이 엇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이사회는 'EU 건축물에너지효율지침(EPBD)' 개정안에 대한 이사회 입장에 합의했다. 건축물이 EU 에너지 소비량의 40% 비중을 점유하고, EU 전체 온실가스의 36%를 배출하는 가운데, EU는 EPBD 지침 개정으로 건축물 에너지효율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추진한다. EPBD 개정의 핵심은 건축물에 대한 이른바 '최소에너지효율기준(MEPS)' 도입을 통해 노후화 건축물에 대한 리노베이션을 의무화하는 것으로,작년 12월 EU 집행위는 MEPS 기준 도입을 통해 2027년 1월까지 모든 상업용 건축물과 공공 건축물에 대해 EU 에너지 효율 기준 최소 'F' 등급 취득 및 2030년 1월까지 'E' 등급 취득을 의무화하는 EPBD 지침 개정안을 제안했다. EPBD 지침 개정안에 대해 EU 에너지장관이사회는 25일(화) 집행위가 제안한 원안보다 크게 후퇴한 내용의 개정안을 이사회 입장으로 확정했다. 이사회 합의는 리노베이션 의무 대상을 상업용 건축물로 제한하고, 회원국의 독자적 의무화 스케줄을 허용하며, 개별 건축물에 대한 의무 면제를 광범위하게 인정하는 내용이다.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최근 AVC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1-9월 중국 TV 온라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8% 하락했다. 최근 AVC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1-9월 중국 TV 온라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8% 하락했다. 평균 단가는 2,354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13.3% 하락했다. 1-9월 온라인 매출량으로는 샤오미가 17.1%의 비중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기대비 2.7%p 하락했다. 하이신, TCL는 각각 14.9%, 11.3%의 비중으로 2,3위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기개비 3.2%p, 0.1%p 증가했다. 1-9월 온라인 매출액으로는 하이신이 18.5%의 비중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기대비 2.9%p 증가했다. TCL는 15.0%의 비중으로 전년 동기개비 2.9%p 증가했으며 샤오미는 13.3%의 비중으로 전년 동기개비 3.5%p 하락했다. [출처: 왕이]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외교부는 해외에서의 우리 상품에 대한 지재권 침해와 한류 콘텐츠 저작권 침해에 대한 재외공관의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26일 중국‧일본‧동남아 지역 재외공관 지재권 담당관 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동 회의에는 국가지식재산위원회, 특허청,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담당자와 중국‧일본‧동남아 소재 재외공관 지재권 담당관 등 약 30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재외공관과 관계부처 해외사무소 간 협업 체계 강화를 위해 △재외공관과 해외사무소 간 협업 사례, △해외 한류 컨텐츠 저작권 침해와 대응 방안, △ 해외 상표 무단 선점 대응 방안 등이 논의됐다. 특허청은 해외 우리기업 상표권 등 침해 대응 방안을 소개하면서, 우리 기업의 정당한 권리 보호에 기여하는 데 있어 재외공관의 협조를 요청했다. 문체부는 코로나19로 영상 등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면서 한류 콘텐츠의 해외 불법 유통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 한류 콘텐츠의 해외 저작권 침해 현황 및 대응 사례를 소개하고, 한류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재외공관의 협조를 요청했다. 주일본대사관과 주호치민총영사관은 해외지식재산센터(IP-DESK)와 협업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외교부는 '한-베트남 수교 30주년 기념 학술 논문 공모전'시상식 및 발표회를 10.25일 개최했다. 한-베트남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시행한 이번 학술 논문 공모전에서는‘한-베트남 협력 방안 및 미래 양국 관계 발전’을 주제로 국내외 대학(원)생의 논문 총 47편을 접수했으며 두 차례의 심사를 거쳐 최우수상 1편, 우수상 2편, 장려상 5편이 선정됐다. 수상자들에게는 외교부장관상과 상금이 수여됐으며, 한국과 베트남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수상자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한-베트남 디지털 변환 협력’을 주제로 최우수상을 수상한 베트남 외교아카데미 학생들은 전자상거래·전자은행·전자정부 등 양국의 디지털 경제 협력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양국 디지털 인프라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그 외, K-POP 등 한국문화를 적극 활용한 외교, 한-베트남 국방안보 협력 강화 방안, 베트남 거주 한국인을 통한 양국 관계 발전, 결혼 이주 베트남 여성들의 권익 향상, 베트남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투자 확대 방안, 협동조합을 활용한 관계 강화 등을 주제로 한 논문들도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수상자 및 논문 제목] ㅇ 최우수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 참석 차 방일한 계기 모리 다케오(森 健良) 일본 외무사무차관과 10.25일 약 90분간 도쿄에서 한일 외교차관 회담을 실시했다. 양 차관은 최근 고조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북한 문제 및 다양한 지역·글로벌 현안 대응에 있어 한일・한미일 간 공조를 지속 강화해나갈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같이했다. 아울러 조 차관은 금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북한의 최근 위협적 도발에 대해 “한미 연합방위태세와 한미일 안보협력을 통해 압도적인 역량으로 대북 억제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을 강조했으며, 이에 대해 모리 차관은 공감과 지지를 표명했다. 양 차관은 강제징용 문제를 포함한 한일 양국간 주요 현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양 차관은 지난 유엔 총회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등 양국 관계의 긍정적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을 평가하고, 현안 해결 및 관계 개선을 위해 외교당국 간 다양한 레벨에서 긴장감과 속도감을 갖고 긴밀한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조 차관은 상호 비자 면제 재개 등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집행위의 자동차 환경규제에 관한 이른바 'Euro 7' 기준 관련 법안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약화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환경단체 등이 강력 반발했다. Euro 7 기준은 이산화탄소 이외에 인체에 유해한 질소산화물(Nox) 및 미세먼지 등의 승용차와 소형화물차 배출 기준을 제한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승용차, 소형화물차, 버스 및 트럭은 대기 질소산화물 오염의 주요 원인이자 미세먼지 발생의 3대 원인으로 알려지며, 도로운송으로 인한 대기오염으로 연간 7만명이 조기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법안을 자문한 전문가위원회(CLOVE)가 Euro 7 기준에 질소산화물 및 미세먼지 배출 규제를 강화할 것을 권고함에도 불구, 집행위 법안 초안은 디젤자동차 신차에 대해 현행 휘발유 차량의 Euro 6 기준을 적용하도록 의무화하는데 그쳤다. 집행위는 부품 등 공급망 불안정성 및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 3중고에 따른 생산단가 상승 등으로 차량 수요 감소 및 전기차 개발 투자가 위축되고 있는 점과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자의 차량 구매력 감소 등의 이유로 승용차와 소형화물차에 대한 Euro 7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환경장관이사회는 24일(월) 11월 6~18일 이집트에서 개최될 '제27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의 EU 협상 입장에 합의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이사회는 'Fit for 55'* 패키지 주요 법안을 유럽의회와 조속히 합의하는 것을 조건으로, '빠른 시일 내' EU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상향조정하고, 이를 위해 패키지의 주요 법안을 연내 완료한다는데 합의했다. 'Fit for 55' 전략은 2030년 EU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감축하기 위한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을 담은 패키지 집행위는 2021년 7월 'Fit for 55' 패키지 발표 후 우크라이나 전쟁 및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 등에 따라 지난 5월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등 목표를 제고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2030년 EU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55% 보다 다소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 민간 환경단체 세계기후포럼(WWF)은 파리 기후협정에 따른 지구 온난화 1.5°C 이내 유지 목표 달성을 위해 EU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현행 55%에서 65%로 상향해야 한다고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베트남 전자상거래 1, 2위를 차지하는 쇼피(Shopee)와 라자다(Lazada)의 희비가 교차되고있다. Shopee는 2020년 13억 달러 적자에서 2021년 25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적자가 심화됐다.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비용이 증가됐다. 최근 베트남을 포한한 여러 시장에서 구조조정을 실행했다. 이 같은 악재소식으로 Shopee의 지주회사인 SEA Ltd의 시가총액의 1,700억 달러가 증발했다. 반면 Lazada는 2020년 7,68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2021년 71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 배경에는 모회사인 알리바바(Alibaba)가 Lazada에 올해 13억 달러의 투자가 있다. Shopee는 Lazada보다 베트남 진출이 4년 늦었으나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2021년 11월~2022년 5월까지의 베트남 전자상거래 점유율은 Shopee가 72%, Lazada가 20.9%를 차지했다. 올해 1/4분기 기준 Shopee의 月방문자수는 약 8,500만 명, Lazada는 1,700만 명을 기록했다. 나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