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시의 악취를 해소하기 위해서 주민참여형 관리와 오염원 관리 강화, 실증적인 악취관리 방안 제공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는 14일 시청 정책토론실에서 지난해 6월 착수한 ‘악취관리 종합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이 같은 전략이 제시됐다고 밝혔다.
시는 악취방지법 규정에 따라 시 전역 악취실태를 조사해 체계적인 관리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용역을 진행해 왔다.
용역을 진행한 ㈜산업공해연구소는 시민설문조사, 지역별 악취측정 등을 바탕으로 냄새 없는 상쾌한 도시 조성을 위해 필요한 3대 추진전략과 8개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주민들의 참여로 악취를 관리할 수 있도록 ‘명예환경감시단’ 운영 필요성과 환경교육, 합동단속 등의 활동으로 시민들이 시정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 악취 오염원 관리를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하는 조례를 제정하고 악취를 저감하는 탈취제, 압롤박스, 분무시스템 등의 지원을 늘리는 방안도 제시했다.
실질적으로 생활악취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각 업종별 악취저감방안을 별도 수립하고 실증을 통해 적절한 방지시설을 구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날 보고회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각 부서별 의견을 반영해 보고서를 수정?보완해 악취관리 종합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악취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는 포곡?모현 지역에 대해서는 지난해 말 조기 완료한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6월 포곡 유운?신원리 일대와 용인레스피아 등 24만8,244㎡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또 지난달 11월에는 이 일대 축산농가와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악취관리지역 고시에 따른 후속조치와 법적 의무, 악취방지 기술 등을 소개하는 설명회를 개최했다.
시 관계자는 “악취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포곡?모현 뿐 아니라 시 전역 악취를 저감하기 위해 이번 용역을 실시한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악취를 관리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