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6.12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성 김(Sung Kim)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금번 협의는 양국 북핵수석대표가 올해 들어 갖는 네 번째 대면 협의로서, 양국 수석대표는 유선 협의를 포함 수시로 소통하며 북핵·북한 문제 관련 긴밀한 대북 공조를 이어오고 있다. 북한이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소위 위성 명목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추가 발사를 예고한 상황에서, 한미 북핵 수석대표는 금번 협의를 통해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의 지속적인 불법적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인도는 2027년까지만 디젤 4륜차 운행을 허용하고, 주요 도시(델리/뭄바이/콜카타/첸나이/벵갈루루 등)의 모든 디젤 차량을 전기 및 가스 차량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24년부터 상용 차량은 전기 차량 신규등록만 허용하고 전기 철도 운행과 가스 동력 트럭 등의 활용을 더 높일 것이라 밝혔다. 구체적인 기준 및 시행안은 추후 발표할 예정으로 각 지역/산업별 협력단체 등 이해관계자들과 협의 진행 중이다. 207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제로 목표 달성 및 대대적인 전기 차량 도입을 위해 신재생 에너지로 전체 전력의 40%를 생산함과 동시에 현재 시범 단계에 있는 그리드의 비중을 2035년까지 40%로 늘릴 예정이다. 천연가스의 비중도 현재 6.2%에서 2023년까지 15%로 끌어올리며 적극적인 탄소 배출 저감 의지를 보임였다. 인도 탄소 배출량은 연간 7억 톤에 달하며 2030년까지 연평균 5억 톤 수준까지 낮출 것이라 밝혔다. 중공업·공기업부 주관 FAMEⅠ(2015~19) 정책을 통해 전기차 제조업체와 구매자에게 보조금 제공했으며, FAMEⅡ(2019~25) 통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대중교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지난 5월 3일부터 인도 북동부 마니푸르주에서 발생한 부족 간 유혈 충돌로 60명 이상 사망, 20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번 유혈 사태는 쿠키족과 메이테이족 간의 충돌로, 북동부 지역의 폭력시위는 그간 빈번히 일어났으나, 이번과 같은 직접적인 충돌은 3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 쿠키족(Kuki) : 인도 북동부 지역에 흩어져 사는 기독교 부족 * 메이테이족(Meitei) : 마니푸르주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힌두교 부족 지난달 마니푸르주 고등법원은 주정부가 추진 중인 “메이테이 지정부족(ST) 포함” 입안 건이 합헌이라 판결 내렸다. 메이테이는 마니푸르州에서 인구의 64.6%를 차지하나 지금까지 지정부족에 포함되어있지 않아 법적 보호 없이 차별받아왔다. 주정부의 결정에 반대하는 다른 소수 부족들이 “메이테이 지정부족(ST) 반대 시위”를 벌이면서 폭력사태로 확산됐으며, 별도 州 창설을 요구했다. 힌두 민족주의 정당이자 집권당인 BJP가 힌두교를 믿는 메이테이와 非힌두교 소수 부족들간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묵인하고 있다. 이번 사태가 북동부 다른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인도 국영 UCO 은행(前 United Commercial Bank) 고위 관계자가 2023년 초부터 인도-러시아 비석유 무역의 일부를 루피화로 결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2년 인도중앙은행(RBI)은 루피화 사용을 국제화하는 것을 목표로 무역대금을 루피로 결제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서방 제재를 겪으며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의 루블화와 우호 국가의 통화로 더 많은 무역 거래를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러시아 가즈프롬 은행이 UCO 은행에 특별 루피화 보스트로 계좌를 개설한 유일한 외국 은행이다. UCO 은행 총재는 2023년 1월 이후 약 19~20건의 무역 거래가 루피화로 이뤄졌고 모든 거래는 인도의 對러시아 수출 거래였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인도 제조사로부터 오염 측정 장비 구매를 포함하여 두 건의 거래를 루피화로 했다고 밝혔다. 22/23 회계연도에 러시아는 이라크를 제치고 인도 최대 석유 공급국으로 부상했다. 러시아는 무역 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인도로부터 기계, 화학 및 의약품 등의 수입을 늘리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베트남 자동차 제조업체의 절반 이상이 판매량이 감소됐고, 자동차 수요도 크게 감소했다. 베트남자동차제조사협회 (VAMA)에 따르면 ’23년 4월 회원사들의 판매량은 전월 대비 25% 감소한 2만 2,409대를 기록했다. ‘23년 4월까지 누적 판매량도 전년 대비 30% 감소한 9만 2,801대를 기록했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VAMA와 베트남기계기업협회는 자동차 등록세 50% 감면을 제안했다.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국내에서 생산된 자동차 등록세를 50% 감면을 승인하고, ‘23년 7월 1일부터 12월 32일까지 시행할 예정이다. [출처:https://english.thesaigontimes.vn/government-approves-50-reduction-in-car-registration-fees/]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이사회는 이른바 '단일시장 긴급대응조치(Single Market Emergency Instrument, SMEI)' 법안과 관련, 법안의 주요 내용을 크게 약화한 EU 이사회 입장을 확정했다. SMEI는 코로나19 당시 회원국간 방역 물품 이동을 제한한 경험을 교훈으로, 각종 위기 발생시 위기 대응을 위한 필수 상품과 서비스의 원활한 공급망 유지를 통해 EU 단일시장의 완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2022년 9월 EU 집행위가 제안한 법안이다. 법안은 회원국에 대해 특정 품목의 재고 비축 의무를 부여하거나, 기업에 대해 재고 및 생산량에 대한 정보 요구 및 특정 주문 우선 생산을 요구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동 법안에 대해 EU 이사회는 수출금지조치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의 도입과 잠재적 수출통제 조치에 대해 회원국이 집행위에 통지해야 하는 의무를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회원국의 특정 품목 재고 보유 의무 및 기업에 대한 특정 주문 우선 생산 요구권을 삭제한 반면, 기업에 대한 특정 품목 및 공급망에 관한 정보 요구권은 원안 그대로 유지한다. 위기 대응 조치 발동 및 해제의 결정과 위기 대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전응길 주제네바대표부 공사참사관(前 산업통상자원부 신북방통상총괄과장)은 6월 8일 '세계무역기구(WTO) 세이프가드위원회(Committee on Safeguards)'의장(임기: 1년)으로 선출되어 6월 9일부터 활동에 들어간다. WTO 세이프가드위원회는 상품무역이사회 산하 12개 위원회 중 하나로, 세이프가드의 발동요건 및 발동에 따른 절차, 동 조치에 따른 상대국의 피해보상 및 보복조치 등'WTO 세이프가드 협정'의 이행을 감독하는 정례기구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 추세가 강화되면서 주요국의 수입규제 조치가 크게 증가하는 시기에, 각 회원국의 세이프가드 협정 준수 및 이행을 감독‧독려하는 의장직을 전응길 공사참사관이 수임하게 됨으로써 다자통상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안세령 외교부 국제경제국장은 6.7일과 8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연례 각료이사회에 참석했다. 각료이사회는 OECD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 올해는 “회복력 있는 미래 확보 – 공유 가치와 글로벌 파트너십(Securing a Resilient Future : Shared Values and Global Partnerships)”을 주제로 개최됐다. 6.7일 개최된 ‘우크라이나’ 세션에 화상으로 참석한 데니스 시미할(Denys Shmnyhal) 우크라이나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부터 OECD가 우크라이나 지지 입장을 표명하고, 우크라이나 정부와 협업하여 조세·반부패 등 분야에서 개혁을 지원한 데 사의를 표명하며, 앞으로도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OECD와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안 국장은 동 세션에 참석하여 여타 참석국들과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의 부정적 영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와 지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한,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현황을 소개하며,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우크라이나 재건에도 적극 기여할 예정이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과 오노 히카리코(小野 日子) 일본 외무성 외무보도관은 6.8일 도쿄에서 한·일 대변인 협의회를 개최했다. 동 협의에서는 △한일 양국의 대외발신 업무, △한일 대변인실간 협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해 의견 교환을 했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외교부가 후원하고 재단법인 한국-아랍 소사이어티(KAS, Korea-Arab Society)가 주관하는 제16회 한-아랍 우호친선 카라반이 오만(6.9.)과 쿠웨이트(6.12.)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아랍 우호친선 카라반 행사는 한국의 문화예술을 아랍 지역에 소개하고 한-아랍 양 지역 간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2008년부터 꾸준히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는 오만의 최첨단 공연장인 무스카트 국제 전시장과 쿠웨이트의 중동 아메리칸 대학교(AUM) 오페라 하우스에서 각각 케이팝 공연을 선보이게 된다. 금번 행사는 일반적인 케이팝 해외 공연을 넘어서 한국 가수가 아랍어로 노래하고 아랍 공연자가 한국어로 노래하는 우정의 무대를 통해 아랍 지역의 한류 기반뿐만 아니라 상호 이해와 공공외교 기반을 다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장호진 1차관은 주러시아대사 이임인사 차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6.7일 「블라디미르 티토프(Vladimir Titov)'러시아 외교부 제1차관 및 「안드레이 루덴코(Andrey Rudenko)' 아태담당 차관을 각각 면담했다. 동 면담시 양측은 그간의 한-러 관계 관리를 위한 상호 노력을 평가하고 양국 관계,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아울러, 우리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을 계기로 유엔 관련 사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대외관계청(EEAS)은 7일(수) 발표한 '新남미 및 캐러비안 아젠다'에서 EU-메르코수르 무역협정 비준 등을 우선 추진 정책으로 채택했다. 동 문건에 따르면, 증가하는 지정학적 도전에 직면하여 남미의 원자재 및 주요 자원에 대한 접근성 확보가 우선 추진 정책임을 제시했다. EU는 구리, 리튬 등 광물과 원유 및 가스 등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남미와 자원 협력을 EU의 친환경 전환에 필수 과제로 간주, EU의 핵심원자재전략을 통해 남미 국과의 각종 협정 체결을 적극 추진중이다. 이를 위해 'EU-유럽, 남미 및 캐러비안 공동체(CELAC)' 정기 서미트 실시, 해당 지역과 무역협정 조속한 체결 및 EU의 글로벌 게이트 전략을 통한 투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EU는 남미와 관계 심화를 통해 양측 모두 일부 제3국에 대한 과도한 공급망 의존을 완화하고, EU의 중국 위험 관리(de-risk)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건에 따르면, EU는 EU-메르코수르 협정 비준 등 남미 각국과 무역협정 또는 파트너쉽 협정 체결 로드맵을 제시하고 EU-브라질, EU-멕시코 양자관계 심화를 우선 추진할 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