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 1MHz 능동 클램프 플라이백 칩셋과 6A 3레벨 벅 배터리 충전 IC 출시

  • 등록 2018.03.08 11:41:24
크게보기

전원 공급 장치 크기 절감 및 충전 시간 절반으로 단축

[한국글로벌뉴스] TI가 개인 전자기기 및 휴대용 산업용 장비의 전원 공급 장치와 충전 솔루션 크기를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의 새로운 전원 관리 칩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최대 1MHz로 동작하는 TI의 새로운 칩셋 제품은 UCC28780 능동 클램프 플라이백 컨트롤러와 UCC24612 동기식 정류기 컨트롤러를 결합한 것으로서 AC/DC 어댑터 및 USB PD 충전기의 전원 공급 장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bq25910 6A 3레벨 벅 배터리 충전기는 소형의 솔루션 크기로 최대의 충전 효율을 필요로 하는 배터리 구동 전자기기에 적합한 제품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식 POS 디바이스의 솔루션 풋프린트를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다.

TI 고전압 전원 솔루션 사업부 부사장 스티브 램버시스는 "소비자들은 더 작은 풋프린트로 보다 빠른 충전을 원하고
이들 신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더 적은 전력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TI는 4일부터 8일까지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진행되고 있는 APEC 전시회에서 이들 새로운 전원 관리 디바이스들을 선보이고 있으며 개발자들은 혁신적인 설계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능동 클램프 플라이백 칩셋으로 최신 효율 요건 충족

갈륨 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 FET과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UCC28780은 향상된 적응식 기능들을 포함하므로 능동 클램프 플라이백 토폴로지로 최신 효율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입출력 조건에 따라서 동작을 변경 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제어로 UCC28780과 UCC24612는 짝을 이루어서 최대 부하와 경부하 모두에서 높은 효율을 달성하고 유지한다. 이들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관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력 밀도 두 배, 이 칩셋은 최대 1MHz로 효율적으로 동작하므로, 다른 솔루션 대비 크기를 50% 줄이고 더 높은 전력 밀도를 달성한다.

높은 효율, 멀티 모드 제어로 최대 부하에서 최대 95% 효율과 40mW 미만의 대기 전력을 달성하므로, CoC 티어 2 및 미국 에너지부(DoE) 레벨 VI 효율 요건을 상회하여서 충족한다. 75W 이상의 설계인 경우, 이 칩셋에 새로운 6핀 PFC 컨트롤러 UCC28056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UCC28056은 경부하 효율을 높이고 낮은 대기 전력 소모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어 필수 IEC-61000-3-2 AC 전류 고조파 제한 규정을 충족할 수 있다.

설계 간소화, 개발자들은 적응식 ZVS 제어 같은 기능들을 사용하여 저항 설정과 컨트롤러 자동 튜닝의 조합으로 원하는 시스템을 손쉽게 설계할 수 있다.

3레벨 벅 배터리 충전기로 더 높은 충전 효율 달성

혁신적인 3레벨 전력 변환 제품인 bq25910은 열 손실을 크게 줄임으로써 기존 아키텍처에 비해 최대 50%까지 더 빠른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제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관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형의 솔루션 크기, bq25910은 MOSFET과 무손실 전류 감지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PCB 공간을 줄이고 개발자가 0.33H의 작은 인덕터를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으로 공간을 더 절약할 수 있다.

더 빠른 충전, bq25910은 95% 충전 효율이 가능하여 표준 스마트폰 배터리를 완전 고갈 상태에서 70%까지 충전하는 데 3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유연한 시스템 설계, 차동 배터리 전압 감지 라인을 사용해서 PCB 상의 기생 저항을 우회해서 빠르게 충전할 수 있어 배터리가 시스템 내에서 충전 회로로부터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전압 측정을 할 수 있다.

TI의 혁신적인 전원 IC, 툴 및 교육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

파워 하우스 블로그는 TI의 APEC 전시에 대한 자세한 정보이며 TI의 플라이백 및 동기식 정류기 컨트롤러다. 또한 30W/in3, 92% 효율, 65W USB 타입-C PD AC/DC 어댑터 레퍼런스 디자인을 사용하여 고전압 시스템 설계 빠르게 시작한다.

한국글로벌뉴스 기자 기자 kgfnews@naver.com
Copyright © 2019 한국글로벌뉴스.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수원본사]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세지로 230 한텍 201호.[화성시 지점] 화성시 현대기아로 733-4 .[오산시 지점]오산시 남부대로 446, 2층 오피스밸리 261(고현동)대표전화 : 031-8019-8992 팩스 : 031-8019-8995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종욱 명칭 : 한국글로벌뉴스 제호 : 한국글로벌뉴스 등록번호 : 경기 아 51741 등록일 : 2017-04-23 발행인 : 박소연 편집인 : 박소연 한국글로벌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한국글로벌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gf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