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타임스]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신도시에는 여성이, 산업도시에는 남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 등 주거 여건이 좋은 신도시 지역에 여성들이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행정자치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경기도 31개 시·군 중 여성 인구가 많아 남녀 구성비(여자 100명당 남성 인구의 비율)가 낮은 지자체는 과천시(0.95), 양시(0.97), 성남시(0.98), 광명시(0.98) 등이다.
고양시의 경우 신도시 지역인 일산동구와 일산서구의 남녀 구성비가 각각 0.96, 0.95인 반면 구도심인 덕양구는 0.99로 높았다.
성남시도 분당구가 0.94인 반면 구도심인 중원·수정구는 1.03으로 오히려 남성 인구가 많았다.
용인 수지구(0.96)와 평촌신도시가 있는 안양 동안구(0.97) 역시 여성 인구 비중이 높았다.
남초현상이 뚜렷한 지자체는 포천시(1.11), 연천군·시흥시(1.10), 화성시(1.07), 광주시(1.06), 안산시·오산시·가평군(1.05) 등이다.
포천시와 연천·가평군은 군부대가 많다는 지역적 특성이 있고 나머지 시흥·화성·광주·안산·오산시는 공장이 밀집된 곳이다.
광역지자체 중에는 서울(0.96)·부산(0.97)·광주(0.98) 등 도시지역이 여성 인구 비중이 높았으며 중공업 도시인 울산(1.06)과 공단 조성이 한창인 충남(1.03)·충북(1.02)이 남성 인구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