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 이익인가 낭비인가?’ 다문화 인식 개선교육 실시


 

(한국글로벌뉴스 -박소연 기자) 지난 18일 오후 4시 수원시청 대강당에서 수원시 공직자들 대상으로 다문화인식 개선교육을 실시 했다.

각 관계부서에서 200여명이 참여하여 2시간에 걸치 강의를 들었다.

 

 

이날 강의는 다문화이해전문강사인 강태인 강사가 한국사회의 다문화에 전반적인 인식개선에관한 내용 전달에 피력 했다.

 

이미 우리 사회는 다문화 아니 다인종세계로 접어든지 오래이다. 하지만 끊임없이 논의되고있는 다문화현상은 나아가서 사회.경제적효과를 따져 보고 지금 우리의 역할은 또한 주어지는 과제는 무엇인가의 갈등에 휩싸여 있는게 현실이다.

 

2019년 7월기준 합법적으로 체류하고있는 외국인은 약 242만명,국민 100명중 5명이 외국인 셈이다.

여기에 불법체류이주민까지 보태면 더많은 숫자의 이주민이 있는 것이다.

 

나라별로 보면 중국인(한국계) 이 제일많은 498천명이고 그 다음은 베트남인으로 148천명이 된다.

이밖에도 태국,우즈베키스탄,캄보디아,미국,인도네시아,네팔,몽골 순으로 나타난다.

 

유형별로 보면 91.2%가 아시아지역 출신이고 그 중 52.3%는 동북아 출신으로 집계된다.물론 현거주지로는 경기도가 최대 이다.

 

이들이 우리 이웃이 되어 다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녀들이 학교를 가야되고 같은 혜택을 받아야 하지만 222,455명이(2018.11행안부기준) 같은 환경에서의 받는 처지는 많이 다르다.

 

여기에 다문화사회를 보는 한국인의 시각을보니 다문화수용성은 이중적으로나타나고 있다.

문화공존 찬성비율은 44.4%인 반면에 국가재정부담증가 48.6%로 나타나고 있다.

 

유럽의 73.8%에 비하면 현저히 문화공존율이 낮은 편이다.

 

 

여기서 다문화사회의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면 우리의 가장 심각한 저출산과 고령화에 놓여있는 현실의 숫자를 바꾸어준다는 것이다.

 

지금 한국의 젊은층은 결혼도 안하고 물론 아이도 낳지않는다.

하지만 이주여성이 한국남성과 결혼하면서 당연히 출산하고 젊은 근로자가 유입되면서 산업 전반에 경제적효과를 누려 주고 있다. 즉 고령화 속도를 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문화정책은 곧 고령화 속도 완화에 따른 비용효과로 보는 것이다.

 

 

이주여성이 한국인 남자와 결혼했을 때 나이차는 평균18.4세이다. 모두 그렇지는 않지만 경제적인 형편도 만만치 않아 이주여성 대부분이 경제와 육아를 책임져야하는 상황이 다수인 현실에서 국가적인 지원정책이 어디까지 조사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금 시대이지만, 다수의 의견은 왜 그들만 지원해줘야하느냐 내가 벌어서 왜 그들에게 줘야하느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리사회에 녹아있는 여러인종의 동거는 이제 받아들여야하는 시대이고 그들의삶을,가치를 존중하고 다문화가족의 아픔을 기억하고 다둑이는 이웃이 되어야 한다.

 

끝으로 홀트아동복지회에서 국외로 입양보내는 비용은 1인당 정부 지원금이 1,326만여 돈이 들어가는데 다문화예산은 1인당 1,465만원이 들어간다.

 

 

비슷한 금액으로 보이는데 현실은 우리 국민이 되느냐 외국으로 나가느냐의 차이로 보았을 때 씁쓸하고 밀려오는 허탈감은 채워지지 못한채 강태인 강사의 어린시절 가정형편상 어쩔수 없이 입양 보내져야 했던 누이동생의 슬픈 이야기를 보태여 듣는이들의 눈시울을 적시게 했다.

 

이번 교육으로 얼마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갈지는 모르나 이런 교육은 계속 이루어지고 토론하고 해답을 찾아가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